KOREA

한국 등산사 연표

타임라이너 2023. 10. 14. 23:09

2023  부산산악연맹 골둠피크(6620m) 세계 초등

2021  김홍빈 8000m급 14좌 완등 (후 하산 도중 실종)
2020  충남 교육청 소속 교사 4명 안나푸르나 트레킹 중 눈사태로 실종
2018  김미곤 8000m급 14좌 완등 / 김창호 구르자히말(7193m) 등반 도중 사망
2017  김창호 황금피켈상 심사위원 특별상

2014  가셔브룸 5봉 Gasherbrum V 7147m 초등, 안치영, 성낙종 (K2원정대)

2013  김창호 아시아 2번째 8000m 14좌 무산소 등정
2012  이명희 피츠로이 아시아 여성 최초 등정
2011  박영석 안나푸르나 5700m 부근 실종
2009  에베레스트 남서벽 코리안루트 등정(박영석)

          오은선 칸첸중가 등정시비 / 고미영 낭가파르밧 하산 중 사망
2008  김세준 메루피크 북벽 초등
2007  엄홍길 로체샤르 등정으로 8K 16좌 등정기록 / 부산원정대 K2(8611m) 등정

          세로토레(3102m) 한국초등 (정승권원정대)

2005  엄홍길 "휴먼원정대" 조직
2005  박영석 인류 최초 산악 그랜드  슬램 달성(북극점 도달)

          박정헌 촐라체 (6440m) 북벽 동계초등
2004  박영석 남극점도달 (무보급, 세계 최단 기록) / 오은선 에베레스트 단독 등정(여성 최초)
2003  한왕용 8000m급 14좌 완등(국내 3번째)

          정승권 데날리 오리엔탈익스프레스 단독 등반
2001  박영석(7.22.K2), 엄홍길(9.21. 시샤팡마) 8000m급 14좌 완등
 


1999  지현옥 안나푸르나 등정 후 하산 중 사망
1998  민주지산 제5공수특전여단 저체온증 사고(6명 사망)
1997  가셔브룸4 Gasherbrum IV 7925m 코리안 루트 초등 (한국산악회)
1996  변미정 초오유(8201m) 무산소 등정 (국내최초)
1995  브로드피크(8047m) 한국초등 엄홍길(스페인합동대) / 로체(8516m) 등정 엄홍길
1994  박정헌 안나푸르나 남벽 한국 초등
1993  박영석 예베레스트 아시아 최초 무산소 등정
1992  낭가파르밧(8125m) 한국초등, 박희택, 김주현, 송재득

          초오유(8201m) 한국초등, 남선우,김영태 (울산·서울합동대)
1991  가셔브룸2봉(8035m) 한국초등, 한상국 外 성균관대OB 산악회(7.19.), 울산산악연맹(7.20.)
          시샤팡마(8027m) 한국초등, 김창선, 김재수 (대한산악연맹,남벽루트)
1990  가셔브룸1봉(8068m) 한국초등, 박혁상(충남산악연맹팀)

          데날리 코리안직등루트 초등(한국산악회)

1989  동계 랑탕 리룽(7234m) 세계초등 (박영석) / 로체(허영호)
1988  다울라기리(8167m) 한국초등,  최태식(부산합동대) / 지현옥 데날리 한국 女 초등
          칸첸중가(8586m) 한국초등, 이정철(부산대륙산악회) / 엄홍길 에베레스트 등정
          로체 Lhotse 8516m 한국초등 정호진, 박쾌돈 (대산련)

          백두대간 60일 종주, 대학산악연맹 49명

1987  허영호 에베레스트 동계등정
1986  마터호른 북벽 한국 최초 단독등정 (유한규)
           K2(8611m) 한국 초등 장봉완, 감창선, 장병호
1985  가우리상카(7134m) 동계 초등 (진주 마차푸차레), 국내 산악계 등정의혹
           히말출리(7371m) 세계 초등 (울산합동대, 이재환) / 대승폭포 빙폭 초등 (윤대표, 정호진)
1984  토왕성 빙폭, 좌우 암벽 등정 초등(이태식, 박내경) 
          안나푸르나 동계초등 등정시비 은벽산악회 김영자 (엘리자베스 홀리, 프랑스 등정대)

          남난희 태백산맥 단독종주(부산-진부령, 76일, 동계)
1983  바인타브락(6900m) 세계 초등(유한규, 악우회) / 마나슬루 (허영호)
1982  마칼루 한국초등 (허영호, 한국산악회) / 고준바캉(7806m) 세계 초등(김영한,무산소)

MAKALU

          남선우 푸모리(7145m) 동계 단독등정 / 아마다블람 세계최초 동계단독초등
1981  아콩카과(6960m) 등정 서울대 자연대팀
1980  마나슬루(8163m) 한국초등, 서동환(동국대팀)

          알프스 3대 북벽 한국 최초 완등 (유한규)
  
1979  그랑드조라스(4208m), 마터호른(4478m) 등정 (악우회)
          아이거북벽 한국초등, 윤대표(악우회)

          고상돈 데날리 등정후 하산 중 사망
1978  안나푸르나 4봉 등정 (한국산악회 유동옥)
1977  에베레스트 등정 (고상돈, 펨바 노르부) / 토왕성 빙폭 완등(크로니산악회 박영배 등)

1976  제3차 마나슬루 원정 7750m 도달
1975  제1차 에베레스트 정찰(대한산악연맹, 대장 최수남)

          제1차 안나푸르나 정찰 (한국산악회, 대장 손경석)
1974  한국등산학교 개교
1972  제2차 마나슬루 원정 CAMP4 7200m 도달 (15명 조난)

          산악조난구조대 발족(서울시연맹, 서울북부경찰서) / 고교산악연맹 결성
1971  제1차 마나슬루 원정 CAMP5 7600m 도달

          로체사르 원정: 8000m 한국 최초 돌파 (최수남) / 대학산악연맹 결성 
1970  추렌히말(7371m) 원정 (한국산악회), 한국 최초의 등정 시비

 

1969  설악산 "죽음의 계곡" 눈사태 10명 조난 사망
1963  인수봉 취나드코스 개척 (선우중옥, Yvon Chouinard)
1962  대한산악연맹 창립 / 다울라기리 2봉 정찰 등반 (박철암, 경희대팀)
1960  인수봉, 선인봉 새로운 코스 개척(한양공대팀)
1957  한국산악회 한라산 동계 등반
1956  지리산 동계종주(서울공대팀)  / 설악산 천불동 직등 초등(슈타인멘클럽)
1955  한국산악회 설악산 등반 / 설악산 천불동 초등(서울 문리대팀)

 

1948  조선산악회, 한국산악회로 개칭
1945  조선산악회 창립

1941  마천령산맥 종주 (백령회) (~1942) 
1938  백령회 결성 (엄흥섭, 양두철, 주형렬)
1937  양정산악회 최초 지리산 종주 감행
1935  백두산 동계 초등 (일본 교토대 산악회, 今西錦司)
1934  도봉산 만장봉 초등(김정태, 엄흥섭)
1930  양정산악회(양정고보산악부) 백두산 하계 등정
1927  박석윤 "알프스 몽블랑 등산기" 발표
1926  인수봉 암벽 초등(임무 林茂, Clement Hugh Archer) <근대등반의시작>
1925  북한산, 백운대 암벽 초등, 보현봉, 비봉 등반 (林茂, 飯山達雄)
1920  조선산악회 결성 (일본인조직)
1902  김회석(金會錫) 지리산 천왕봉 등산 (중산동-천왕봉) - 智異山遊賞錄 
 

1875  최익현(崔益鉉, 유배 中) 한라산 백록담 등산 - 遊漢拏山記
1861  古山子 金正浩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제작
1860  박치복(朴致馥) 지리산 천왕봉 등산(대원사-중봉-천왕봉) 頭流錄 
1850  이상수(李象秀) "금강산등정기" (철종1)
1816  추사 김정희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발견
1807  하익범(河益範) 지리산 천왕봉 등산 (중산촌-천왕봉) - 遊頭流錄 

 

1790  이동항(李東沆) 지리산 천왕봉 등산 (백무당-천왕봉) - 方丈遊錄 
1775  류문룡(柳汶龍) 지리산 천왕봉 등산 - 遊天王峯記 
1770  박제가(朴齊家) 묘향산 등산
1764  박종(朴琮) "백두산유록" 극지법 등산의 효시 (기름먹인 종이로 만든 천막 사용)
1760?  신경준 "산경표 山經表" 편찬

1753  이중환 "택리지 擇里志" 편찬
1731  남하정(南夏正) 계룡산 등산
1730  송진명(宋眞明) "백두산지도" 제작
1724  정식(鄭栻) 지리산 천왕봉 등산 - 頭流錄 
1712  백두산 정계비를 세움(조선 숙종 38년 백두산 분수령)
1711  북한산성 개축 (숙종37년)
  
1641  박장원 지리산 천왕봉 등산(백무당-하동바위-제석당-천왕봉)
1611  류몽인(柳夢寅) 지리산 천왕봉 등산 - 遊頭流山錄 
1601  김상헌((金尙憲, 안무어사) 한라산 백록담 등산 - 南槎錄
1580  변사정(邊士貞) 지리산 천왕봉 등산 遊頭流錄 
1578  임제(林悌) 한라산 백록담 등산 - 南溟小乘
1560  율곡 이이 금강산 여행 (명종15년)

1530  신 동국여지승람 편찬 (중종25년)
1487  남효온(南孝溫) 지리산 등산 - 智異山日課 
1481  동국여지승람 편찬 (성종12년)
1472  김종직(金宗直) 지리산 천왕봉 등산 - 遊頭流錄 
1463  양성지(梁誠之) 동국지도 편찬
1430?  백두산 등정(세종의 명에 의해 윤사웅, 최천구, 이무림)
1387  북한산성 개축 (고려 우왕13년)

745  고선지 곤륜산맥 돌파, 힌두쿠시 달코트(4572m)를 넘다
723  혜초 "왕오천축국전" 파미르고원, 힌두쿠시 산맥 트레킹 (~727)
576  신라 화랑제도 정립
569  신라 진흥왕순수비 眞興王巡狩碑 세움 (북한산 비봉)
555  신라 진흥왕 북한산에 오름
132  북한산성 축성 (백제 개루왕5년)
BC30  비류,온조 북한산 인수봉(부아악)에 오름 (삼국사기 권23 백제본기)

 

 

<참고> 대한산악연맹, 한국산악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The Himalayan Database, 8000ers.com